본문 바로가기
지독한 자기 혐오자였던 미키, 그리고 나 미키는 평생 자신을 사랑한 적이 없다. 미키는 엑스펜더블에 지원할 때 계약서를 자세히 보지도 않았다. 자신을 이용하는 티모를 친구라 감싸기도 하고, 자신에게 음식 테스트를 한 마샬에게는 식사 초대해줘서 고맙다고 인사까지 한다. 그는 왜 이렇게 됐을까? 어릴 적 자기 때문에 어머니가 죽었다고 생각하여 내면에 뿌리 깊은 자기 혐오가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또한 고아원에서 자라며 아무도 그의 존재 자체에 대한 존중과 사랑을 주지 않았을 것이다. 고통스럽게 계속 죽어야하는 상황조차도 그는 자신을 탓하며 벌 받는 것이라 생각한다. 자기 혐오로 자기 합리화를 오지게 한다. 이렇게 지독한 자기혐오자였던 미키에게서 어떻게 미키18이 나오게 된 걸까? 처음엔 이 설정이 조금은 억지스럽다 생각했다. 17번의 죽음 동안 한.. 2025. 3. 26.
국가 폭력의 비극, 제주 4.3사건을 돌아보다 일본군이 물러나자 미군이 들어왔다.2차 대전이 끝날 무렵,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며 우리나라는 갑작스런 해방을 맞이했다. 1910년 강제 한일합병 조약 이후로 35년 간 일제의 탄압을 받았던 조선인에게 해방의 기쁨은 고작 한 달도 가지 못했다. 그 해 9월 7일, 미군정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미국과 소련은 조선땅을 반으로 갈라 자기들끼리 신탁 통치를 구상하고 있었고, 결국 미군이 38선 이남 지역을 '점령(occupy)'하는 포고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통일 독립 국가'를 소망했던 당시 조선인은 신탁 통치가 또다른 식민이며, 국토의 분단을 야기한다고 생각했다.     경찰이 6명을 쏴 죽였다.1947년, 3.1절을 맞이하여 전국에서는 "통일독립 전취"을 주창하며 기념식에서 시위를 열었다... 2025. 3. 2.